주요업무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의 주요 업무를 설명해드립니다.

메인화면 이동

주요업무

수문조사

수문조사

유량조사

업무개요

“유량조사”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유속계 등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 등을 통해 고품질 실시간 유량자료를 생산하여 국가 수자원 관련 계획수립, 수량·수질·수생태계 관리, 수공구조물 설계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정의

    하천의 흐르는 물의 양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

  • 사업근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환경부고시 제2018-95호 「수문조사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정」

  • 사업범위

    전국 하천(국가, 지방하천)

  • 필요성

    • 이수사업 활용

      •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활용
      • 물 배분, 공급, 취수구 등 이수구조물 설계에 활용
      • 가뭄피해 예방을 위한 갈수예보에 활용
    • 치수사업 활용

      • 치수구조물의 설계 시 사용
      • 하천기본계획 등 치수계획에 활용
      •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예보에 활용
    • 기타활용

      • 오염총량제 등 수질·수생태관리에 필요
      • 수자원 분야 연구개발의 기본자료로 활용
      • 수상 스포츠, 캠핑 등 국민 여가생활, 친수활동에 활용
1. 수위관측: 기준수위표수위와 계기수위의 관측(측정 시작과 종료) 2. 유량측정: 다양한 수위 범위에 대해 적절한 측정 장비와 방법을 이용한 주기적인 측정 3. 수위-유량관계곡선식(Rating Curve) 개발 및 유량자료생산: 측정유량의 적절성 검토(품질관리), 수위-유량관계곡선식(Rating Curve) 개발, 연간 유량자료 생산 및 제공

유사량조사

업무개요

“유사량조사”는 하천에 흐르는 유사의 양을 측정장비 등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유량-유사량관계곡선식 개발 등을 통해 고품질 유사량을 생산하여 하상변동 분석 및 각종 하천시설물 유지관리, 각종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정의

    하천에서 유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사 및 소류사량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

  • 사업근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환경부고시 제2018-95호 「수문조사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정」

  • 사업범위

    전국 하천(국가, 지방하천)

  • 필요성

    • 하상변동 특성
    • 댐, 저수지, 보 등의 토사퇴적량 예측
    • 하천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 하도의 안정성 검토
    • 유역 토사유출량 산정 등을 위한 기본자료
유사량 측정하는 실사 사진, 입도 분석시 필요 장비, 입도분석 결과 그래프, 유량-유사량 관계 곡선식 개발 그래프

토양수분량조사

업무개요

“토양수분량조사”는 하천 유역의 토양수분의 양을 계측기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를 정량화시켜 하천 유역의 유출분석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함

  • 정의

    토양내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

  • 사업근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환경부고시 제2018-95호 「수문조사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정」

  • 사업범위

    전국 하천유역

  • 필요성

    • 물 순환과 강우-유출모형의 검증과 개발
    • 수자원 계획 및 개발, 작물의 소비수량 산정
    • 수자원의 손실량 산정 등에 이용되는 기본 자료
토양수분량 조사 인포그래픽. 토양수분량 : 토양내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 토양의 체적(혹은 질량)과 무게의 비율로 정의, 측정방식 :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측정주기 : 2시간, 물 순환과정에서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설명하는 설명이미지, 2023년 2개소 관측, 운영(설마천, 청미천), TDR 본체와 케이블, 3중 탐침 센서, 토양수분량 관측 국제교류: 토양수분량과 관측 및 분석기술, 활용 확대 등을 위해 국제적 자료 공유 및 기술협력 증대, 국제 토양수분 협력 교류시스템 네트워크(ISMIN)에 참여, 측정자료 기술 교류 및 제공 (2022년) (청미천 880회, 설마천 878회, 중국, 미국 등 36개국 자료 공유), 다양한 측정 방법과 기술 공유를 통한 전문성 확보, 국내 토양수분 측정 자료 활용성 증대 및 공동연구 기대, 국제적 우리나라 기술 위상 제고, 토양수분량 시계열특성, 통계특성, 변동계수 분석사례(2022년) 관련 그래프이미지 포함

증발산량조사

업무개요

“증발산량조사”는 하천 유역에서 증발 및 증산되는 양을 계측기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를 정량화시켜 하천 유역의 유출분석 및 물 순환 과정의 규명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정의

    수표면, 토양면, 식물의 엽면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증발량과 증산량의 합인 증발산량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

  • 사업근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환경부고시 제2018-95호 「수문조사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정」

  • 사업범위

    전국 하천유역

  • 필요성

    • 물 순환과 강우-유출모형의 검증과 개발
    • 수자원 계획 및 개발, 작물의 소비수량 산정
    • 수자원의 손실량 산정 등에 이용되는 기본 자료
증발산량 조사 인포그래픽. 증발산량 : 수표면이나 습한 토양면에서 수증기의 형태로 방출되는 증발량과 식물의 엽면을  통해 지중의 물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증산량 합을 의미, 측정방식 : 에디공분상 방법, 측정주기 : 30분, 플럭스 타워에서의 현장관측 실사이미지포함, 환경부 증발산량 측정 플럭스타워 현황(2023년) 관련 이미지와 그래프 포함, NASA MODIS 위성에 의한 원격탐사 설명이미지 포함, 증발산량 지도 위성이미지 포함, 표준유역별 증발산량 위성이미지 포함

자동유량조사

업무개요

“자동유량조사”는 하천 및 수로 등에 자동으로 유량(유속)을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유량을 관측하고, 하천의 상황별 적정 측정기법을 개발 및 제시

  • 정의

    초음파 유속계 등 첨단장비를 활용하여 연속적으로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는 자동유량측정시설의 구축 및 운영

  • 사업근거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환경부고시 제2018-95호 「수문조사 전담기관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정」

  • 사업범위

    전국 하천(국가, 지방하천)

  • 필요성

    • 유량측정기법의 개선 및 보완
    • 실시간-무인화 측정시스템 구축을 통한 측정의 효율성 향상
    • 기존 측정방법의 보완(배수영향, 조위영향 고려)
    • 연속측정을 통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 활용법 보완
    • 측정자료의 실시간 제공을 통한 자료활용성 증대
자동유량조사 홍보 이미지. 시설물 조감도, 2023년도 운영현황 지도차트, 첨단장비를 활용한 유량생산 및 자료 제공 : 비접촉식 유속계, 완주군(어우교) 자동유량 관측소의 실사 이미지가 첨부됨. 전자파표면유속계란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에 장비를 설치하여 상류방향으로 전파 신호를 보낸 후 수표면에서 반사되는 전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유속측정방법, 시스템 구성 및 제어체계 구조표, 운영결과 차트가 포함되어 있음. 조위영향(한강 서울시(한강대교)) 차트, 배수갑문 배수영향(안성천 평택시(팽성대교)) 차트, 4대강 보구간 배수영향(낙동강 성주군(성주대교)) 차트, 상하류 연 유출량 비교(한강, 2022년) 차트